맨위로가기

ISO/IEC 8859-7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SO/IEC 8859-7은 그리스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의 텍스트를 인코딩하기 위해 설계된 8비트 문자 인코딩 표준이다. 이 표준은 1987년에 처음 발행되었으며, ASCII 문자 외에 그리스 문자, 기호 및 기타 문자를 포함한다. 2003년에는 유로 기호, 드라크마 기호, 가로줄 및 작은따옴표 등이 추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ISO/IEC 8859 - ISO/IEC 8859-8
    ISO/IEC 8859-8은 히브리어 텍스트 표현을 위해 설계된 ISO/IEC 8859 문자 인코딩의 일부로, 양방향 텍스트 지원 특징을 포함하며 RFC-1556에서 두 가지 변형을 정의한다.
  • ISO/IEC 8859 - ISO/IEC 8859-15
    ISO/IEC 8859-15는 ISO 8859-1을 확장하여 유로 기호와 일부 유럽어 문자를 추가한 8비트 문자 인코딩 방식이지만, UTF-8로 대체되어 널리 사용되지는 못했다.
ISO/IEC 8859-7
개요
이름ISO/IEC 8859-7: 라틴/그리스 문자
언어그리스어, 영어
MIMEISO-8859-7
별칭iso-ir-126, ELOT_928, ECMA-118, greek, greek8, csISOLatinGreek
표준ELOT 928, ISO/IEC 8859-7
이전 표준ELOT 927
분류확장 ASCII, ISO 8859
관련 표준Windows-1253

2. 코드 페이지 레이아웃

ISO/IEC 8859-7 코드 페이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11]

|| ~ || style="background:#DDD" |

|-

! 8x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 9x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 Ax

| NBSP || ‘ || ’ || £ || style="background:#FFD" | || style="background:#FFD" |₯ || ¦ || § || ¨ || © || style="background:#FFD" |ͺ || « || ¬ || SHY || style="background:#DDD" | || ―

|-

! Bx

| ° || ± || ² || ³ || ΄ || ΅ || Ά || · || Έ || Ή || Ί || » || Ό || ½ || Ύ || Ώ

|-

! Cx

| ΐ || Α || Β || Γ || Δ || Ε || Ζ || Η || Θ || Ι || Κ || Λ || Μ || Ν || Ξ || Ο

|-

! Dx

| Π || Ρ || style="background:#DDD" | || Σ || Τ || Υ || Φ || Χ || Ψ || Ω || Ϊ || Ϋ || ά || έ || ή || ί

|-

! Ex

| ΰ || α || β || γ || δ || ε || ζ || η || θ || ι || κ || λ || μ || ν || ξ || ο

|-

! Fx

| π || ρ || ς || σ || τ || υ || φ || χ || ψ || ω || ϊ || ϋ || ό || ύ || ώ || style="background:#DDD" |

|}

일부 셀은 비어 있거나 특정 문자가 할당되어 있으며(회색 배경), 2003년에 몇몇 문자가 추가되었다(노란색 배경).[11]

2. 1. 코드 페이지 레이아웃 상세

ISO/IEC 8859-7 코드 페이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11]

0123456789ABCDEF
0x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
1x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
2xSP!"#$%&'()*+,-./
3x0123456789:;<>?
4x@ABCDEFGHIJKLMNO
5xPQRSTUVWXYZ[\]^_
6x`abcdefghijklmno
7xpqrstuvwxyz{}
|| ~ || style="background:#DDD" |

|-

! 8x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 9x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style="background:#DDD" |

|-

! Ax

| NBSP || ‘ || ’ || £ || style="background:#FFD" | || style="background:#FFD" |₯ || ¦ || § || ¨ || © || style="background:#FFD" |ͺ || « || ¬ || SHY || style="background:#DDD" | || ―

|-

! Bx

| ° || ± || ² || ³ || ΄ || ΅ || Ά || · || Έ || Ή || Ί || » || Ό || ½ || Ύ || Ώ

|-

! Cx

| ΐ || Α || Β || Γ || Δ || Ε || Ζ || Η || Θ || Ι || Κ || Λ || Μ || Ν || Ξ || Ο

|-

! Dx

| Π || Ρ || style="background:#DDD" | || Σ || Τ || Υ || Φ || Χ || Ψ || Ω || Ϊ || Ϋ || ά || έ || ή || ί

|-

! Ex

| ΰ || α || β || γ || δ || ε || ζ || η || θ || ι || κ || λ || μ || ν || ξ || ο

|-

! Fx

| π || ρ || ς || σ || τ || υ || φ || χ || ψ || ω || ϊ || ϋ || ό || ύ || ώ || style="background:#DDD" |

|}

일부 셀은 비어 있거나 특정 문자가 할당되어 있으며(회색 배경), 2003년에 몇몇 문자가 추가되었다(노란색 배경).[11]

2. 2. 주요 문자

2. 2. 1. 제어 문자

U+0020 SPACE (SP)는 공백 문자이다. U+00A0 NO-BREAK SPACE (NBSP)는 줄바꿈 없는 공백이다. U+00AD SOFT HYPHEN (SHY)는 연성 하이픈이다.

2. 2. 2. 기호

ISO/IEC 8859-7에서 사용되는 기호는 다음과 같다.

  • U+0021 `!` (느낌표)
  • U+0022 `"` (큰따옴표)
  • U+0023 `#` (숫자 기호)
  • U+0024 `$` (달러 기호)
  • U+0025 `%` (퍼센트 기호)
  • U+0026 `&` (앰퍼샌드)
  • U+0027 `'` (작은따옴표)
  • U+0028 `(` (여는 괄호)
  • U+0029 `)` (닫는 괄호)
  • U+002A `*` (별표)
  • U+002B `+` (더하기 기호)
  • U+002C `,` (쉼표)
  • U+002D `-` (하이픈 마이너스)
  • U+002E `.` (마침표)
  • U+002F `/` (슬래시)
  • U+003A `:` (콜론)
  • U+003B `;` (세미콜론)
  • U+003C `<` (보다 작음)
  • U+003E `>` (보다 큼)
  • U+003D `=` (등호)
  • U+003F `?` (물음표)
  • U+0040 `@` (골뱅이, at)
  • U+005B `[` (여는 대괄호)
  • U+005D `]` (닫는 대괄호)
  • U+005C `\` (역슬래시, 백슬래시)
  • U+005E `^` (캐럿)
  • U+005F `_` (밑줄)
  • U+0060 `` ` `` (억음 부호, grave)
  • U+007B `{` (여는 중괄호)
  • U+007D `}` (닫는 중괄호)
  • U+007C `|` (수직선)
  • U+007E `~` (물결표, 틸드)
  • U+00A3 `£` (파운드 기호)
  • U+00A6 `¦` (끊어진 세로 막대)
  • U+00A7 `§` (단락 기호)
  • U+00A8 `¨` (다이어리시스)
  • U+00A9 `©` (저작권 기호)
  • U+00AB `«` (여는 겹화살괄호)
  • U+00BB `»` (닫는 겹화살괄호)
  • U+00AC `¬` (부정 기호)
  • U+00B0 `°` (도 기호)
  • U+00B1 `±` (플러스 마이너스 기호)
  • U+00B7 `·` (가운뎃점)
  • U+00BD `½` (2분의 1 분수)

2. 2. 3. 그리스 문자

ISO/IEC 8859-7에서 그리스 문자는 다음과 같이 배당되어 있다.

  • U+0391 ~ U+03A9, U+03AA, U+03AB: 그리스 대문자
  • U+03B1 ~ U+03C9, U+03CA, U+03CB: 그리스 소문자
  • U+0384, U+0385, U+0386, U+0388, U+0389, U+038A, U+038C, U+038E, U+038F, U+0390, U+03A3, U+03AC, U+03AD, U+03AE, U+03AF, U+03B0, U+03CC, U+03CD, U+03CE: 톤 또는 다이어리시스가 있는 그리스 문자
  • U+037A ͺgrc: 이오타 서브스크립트
  • U+03C2 ςgrc: 단어 끝에 오는 시그마 소문자

2. 2. 4. 숫자



0부터 9까지의 숫자는 유니코드에서 U+0030부터 U+0039까지의 범위에 할당되어 있으며, ISO/IEC 8859-7에서도 동일하게 사용된다.

2. 2. 5. 라틴 문자

ISO/IEC 8859-7에서 라틴 문자는 다음과 같이 배당되어 있다.

  • U+0041 ~ U+005A: 라틴 대문자 A-Z
  • U+0061 ~ U+007A: 라틴 소문자 a-z

2. 2. 6. 2003년 추가

유로 기호(€)는 0xA2 위치에 추가되었다. 드라크마 기호(₯)는 0xA3 위치에 추가되었다. 이 기호는 유로 도입 이전에 그리스에서 통용되던 드라크마를 나타내는 기호이다.

0xAF 위치에는 가로줄(horizontal bar)이 추가되었다. 이는 대시(dash)와는 다른 기호로, 문장 부호로 사용된다.

0xAE 위치에는 왼쪽 작은따옴표(‘)가, 0xAF 위치에는 오른쪽 작은따옴표(’)가 추가되었다. 이는 그리스어 텍스트에서 자주 사용되는 따옴표 형태이다.

참조

[1] 간행물 Character Sets https://www.iana.org[...]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IANA) 2018-12-12
[2] 웹사이트 ISO/IEC 8859-7:2003 (Information technology — 8-bit single-byte coded graphic character sets — Part 7: Latin/Greek alphabet) https://www.iso.org/[...]
[3] 웹사이트 CCSID 813 information document http://www-01.ibm.co[...]
[4] 간행물 Code Page CPGID 00813 (pdf) https://public.dhe.i[...] IBM
[5] 간행물 Code Page CPGID 00813 (txt) https://public.dhe.i[...] IBM
[6] 간행물 International Components for Unicode (ICU), ibm-813_P100-1995.ucm https://github.com/u[...] 2002-12-03
[7] 웹사이트 CCSID 4909 information document http://www-01.ibm.co[...]
[8] 간행물 International Components for Unicode (ICU), ibm-4909_P100-1999.ucm https://github.com/u[...] 2002-12-03
[9] 웹사이트 CCSID 9005 information document http://www-01.ibm.co[...]
[10] 간행물 International Components for Unicode (ICU), ibm-9005_X110-2007.ucm https://github.com/u[...] 2002-12-03
[11] 웹사이트 Unicode mapping file for ISO 8859-7 http://ftp.unicode.o[...]
[12] 간행물 Character Sets https://www.iana.org[...]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IANA) 2018-12-12
[13] 웹인용 ISO/IEC 8859-7:2003 (Information technology — 8-bit single-byte coded graphic character sets — Part 7: Latin/Greek alphabet) https://www.iso.org/[...]
[14] 웹인용 CCSID 813 information document http://www-01.ibm.co[...]
[15] 간행물 Code Page CPGID 00813 (pdf) ftp://ftp.software.i[...] IBM
[16] 간행물 Code Page CPGID 00813 (txt) ftp://ftp.software.i[...] IBM
[17] 간행물 International Components for Unicode (ICU), ibm-813_P100-1995.ucm https://github.com/u[...] 2002-12-03
[18] 웹인용 CCSID 4909 information document http://www-01.ibm.co[...]
[19] 간행물 International Components for Unicode (ICU), ibm-4909_P100-1999.ucm https://github.com/u[...] 2002-12-03
[20] 웹인용 CCSID 9005 information document http://www-01.ibm.co[...]
[21] 간행물 International Components for Unicode (ICU), ibm-9005_X110-2007.ucm https://github.com/u[...] 2002-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0123456789ABCDEF
0x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
1x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style="background:#DDD" |
2xSP!"#$%&'()*+,-./
3x0123456789:;<>?
4x@ABCDEFGHIJKLMNO
5xPQRSTUVWXYZ[\]^_
6x`abcdefghijklmno
7xpqrstuvwxyz{}